본문 바로가기
치아관리정보/신경치료

치과에서 치료하는 치아 신경치료 과정이 궁금하다면?

by 스마일덴탈 2024. 2. 16.
반응형

 

치과 신경치료 과정은?

 

치아의 신경치료는 치과 치료 중에서도 난이도가 높은 치료 중 하나입니다. 치료 과정 중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치료 기간 또한 하루 만에 끝나기도 수개월에 걸쳐서 마무리하기도 합니다.

 

치과 신경치료는 여러 과정을 거치는 치료이기에 오늘은 치과에서 진행하는 치아 신경치료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치아-치과-신경치료-과정-썸네일
치아-치과-신경치료-과정-썸네일

 

치아 신경치료 과정

 

 

치아의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치수(신경)가 세균에 감염되면서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 근관(신경관) 내 병든 치수와 혈관에 남아 있는 신경잔사와 괴사 된 조직등을 모두 기계·화학적으로 제거하고 소독한 후에 근관 내부와 치수강 내부를 인공 물질로 밀폐하여 통증을 없애고 근관이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치료를 말합니다.

 

치아의 근관은 곧고 단순한 원통 모양이 아니라 구부러져 있으며, 형태가 불규칙하면서 주요 근관 외에 미세한 부근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여러 번의 과정을 거치면서 신경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1. 치료 준비

-  방사선 치근단 촬영을 통해 대략적인 치근의 형태와 개수 등을 확인하며, 신경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치과용 국소 마취를 합니다. 이때 이미 치아의 치수가 괴사 된 치아는 통증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마취 과정은 생략합니다. 

 

2. 근관와동 형성 및 치수강 개방

- 회전 삭제 기구(핸드피스)로 치아의 머리 부위에 구멍을 뚫어 치수 안으로 접근하기 위한 통로를 만들어 줍니다. 치수강 내의 신경, 혈관 등을 제거하며, 신경치료 과정 중 치아의 파절을 방지하고 교합외상을 줄이기 위해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해 줍니다.

 

3. 치수 제거(발수)와 근관장 길이 측정

- 발수는 근관 내에 있는 치수를 모두 제거하는 행위로 살아 있는 치수와 이미 세균에 감염된 치수 모두를 제거합니다. 치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파일이나 가시 브로우치 등을 이용하며, 정확한 치수의 제거를 위해 근관장의 길이를 측정합니다.

 

신경치료의 성패는 근관 내부의 세균을 얼마만큼 철저히 제거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근관장의 길이을 가능한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근관장의 길이가 너무 짧게 측정되면 나머지 부위의 세균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고 또, 너무 길게 측정되면 파일이 근관의 끝을 넘어 치아의 뿌리 끝 치근단조직에 외상을 가할 수 있습니다. 

 

근관장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방사선사진을 촬영하거나 전자근관장측정기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치과-신경치료-단계-썸네일
치과-신경치료-단계-썸네일

 

 

 

 

4. 근관 형성과 근관 성형

- 근관 형성은 세균과 그 부산물, 괴사 된 치수 등 근관 내 모든 내용물을 기계 · 화학적인 방법으로 깨끗하게 제거하는 과정이고, 근관 성형은 근관을 밀폐시킬 때 용이하게 치수가 제거된 치아 내부의 빈 공간을 확대하고 형태를 다듬는 과정을 말합니다.

 

근관 형성과 근관 성형은 술자에 따라 각각 진행하기도 하고, 동시에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 과정 중 파일을 이용한 기계적인 작업과 화학적 활성이 높은 근관 소독용액(차아염소산나트륨, 생리식염수 등)을 이용한 화학적인 작업을 통해 최대한 치수를 많이 제거하고, 치아 내부의 빈 공간을 확대 · 성형하게 됩니다.

 

5. 근관 충전

- 위에 과정을 통해서 환자의 임상 증상과 징후가 대부분 사라지고 염증 반응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면 근관 내부를 충전하게 됩니다. 근관 충전은 거타퍼차(guttapercha)나 근관실러(근관시멘트),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등의 충전재를 이용해서 근관 내부를 치밀하게 밀폐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치아의 신경치료는 근관 충전을 통해서 혹시라도 남아 있는 근관 내 세균을 근관 속에 매몰하여 가두어 둠으로써 더 이상 염증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재감염을 방지시킬 수 있습니다.

 

6. 근관와동 충전

- 근관 충전이 마무리되면, 신경치료를 위해 삭제한 치수강 부분과 근관 와동을 영구적인 치과용 재료로 충전합니다.

 

7. 크라운 보철치료

- 신경치료를 마무리 한 치아는 치수강에서 영양과 수분을 공급받을 수 없어 쉽게 깨질 수 있습니다. 치과 신경치료의 마무리는 그 치아를 씌워서 보호해 주는 크라운 보철치료까지입니다.

 

치과에서 진행하는 치아의 신경치료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했지만, 치아의 상태에 따라서 1~6번까지 한 번에 진행하기도 하고, 일정 단계는 치료 과정 중 합쳐서 동시에 진행하기도 합니다. 

 

치과 신경치료는 분명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치료이지만, 자연치아를 살릴 수 있는 치료이기에 신경치료가 마무리될 때까지 꼭 다 받아야 합니다.

 

 

마무리

 

치아의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치수가 세균에 감염됐을 때 근관을 통해서 치통을 조절하고 치아를 살리는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치아의 근관은 머리카락보다 얇고 구부러져 있으며, 불규칙하기 때문에 근관 속에서 세균을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근관 속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소독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기구와 약제가 사용되며, 여러 번의 치료를 통해서 마무리하게 됩니다. 치과 신경치료는 복잡하고 섬세한 치료지만 자연치아를 살릴 수 있는 치료이기에 지금 신경치료를 진행 중이라면 크라운 보철치료까지 꼭 마무리하길 권해드립니다.

 

 

혹시 치아 신경치료 중 통증이 심한 이유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치과 치아 신경치료 중 통증이 심한 이유는?

더보기 치과 치아 신경치료 중 통증이 심한 이유는? 치아 신경치료는 예민하고 섬세한 치료로 치료 과정 중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치료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치과 치아 신경치료 중 통증이 심

dental21.tistory.com

 

치아 신경치료 과정 중 마취가 필요한 경우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치과 신경치료 마취 꼭 필요한가요?

치과 신경치료 마취 꼭 필요한가요? 치과 마취가 무서워 치과치료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치과 치료 중 일부는 마취가 필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치과 신경치료 시 마

dental21.tistory.com

 

치아 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심한 이유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치과 치아 신경치료 후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치아의 신경치료는 치료 과정 중 많은 통증을 유발해 환자들도 힘들어하는 치료 중 하나입니다. 힘들게 치료받았던 치아가 다시 통증을 유발하면 당연히 예민해질 수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오

dental21.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