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 질환 중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가 치주염으로, 치주염은 치아 상실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치주염의 원인과 자가 진단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목차■ 치주염이란?
|
■ 치주염이란?
-치아는 잇몸에 둘러싸여 있고, 잇몸 속에는 치조골이 있으며, 치조골은 턱뼈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건강한 잇몸은 치아의 뿌리와 치조골을 보호하고 있으며, 치조골은 치아의 뿌리를 감싸면서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잇몸 질환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잇몸, 치조골, 치아의 뿌리를 덮고 있는 백악질과 치아 뿌리와 치조골을 연결시켜 주는 치주인대 부위가 염증에 이환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염증이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치은염은 잇몸 염증이 연조직에만 국한된 상태로 치료를 통해서 회복할 수 있는 가역적인 질환이며, 치주염은 잇몸 염증이 치아의 치조골까지 진행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는 비가역적인 질환을 말합니다.
치주염으로 인해 상실된 뼈조직은 현재의 의학기술로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치료를 통해서 치조골의 손실을 정지시키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목적으로 잇몸치료를 진행합니다.
■ 치주염의 원인은?
-치주염의 원인은 입 속 세균입니다. 사람의 입 속에는 많은 세균들이 살고 있으며, 그중 일부가 잇몸 질환을 일으킵니다.
잇몸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은 우리가 음식을 먹고 나면 타액과 섞여서 치아에 부착되는 얇은 막의 형태로 치아 면에 달라붙게 되는데 이끼와 비슷하다고 하여 치태라고 부르며 흔히 플라그라고도 합니다.
치태 1mg 에는 약 300여 종의 1억 마리 세균이 서식하고 있으며, 치태 속 세균들이 만들어 내는 조직을 파괴하는 독소에 의해 잇몸은 염증에 이환되면서 치주염에 이환되게 됩니다.
치태는 치아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입 안을 헹구는 가글만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며, 칫솔질 같은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제거가 가능합니다.
치아를 제대로 닦지 않으면서 치태가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되며, 시간이 지나 돌처럼 단단하게 굳어 치석이 됩니다.
치석은 치주염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치석의 표면은 거칠고 구멍이 많이 나 있기 때문에 치석의 주위에는 더 많은 치태들이 부착될 수 있습니다. 치석은 잇몸을 파고들면서 치태를 동반하기 때문에 치주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치석은 단단하기 때문에 칫솔질로는 절대로 제거할 수 없으며, 스케일링과 같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치주염의 원인은 세균으로, 치태 속에서 안전한 서식처의 형태로 생활하기 때문에 치주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치태와 치석을 제거해 주는 치료가 필수입니다.

■ 치주염의 자가 진단 방법은?
1. 잇몸에서 양치질을 하거나 단단한 음식을 씹을 때 피가 난다.
2. 잇몸이 검붉은 색으로 변한다.
3. 잇몸이 붓고 욱신거린다.
4. 잇몸이 내려가면서 이가 길어져 보인다.
5. 이가 흔들리고 잇몸에서 고름이 나온다.
6. 입냄새가 심하다.
7. 이 사이가 벌어지고 아랫니 · 윗니의 맞물리는 상태가 달라진다.
■ 마무리
-치주염은 치아를 감싸고 있는 치아주위 조직이 염증에 감염되는 질환으로, 잇몸 염증이 치조골까지 진행된 상태를 말합니다. 치조골이 소실되면 원래의 상태로 회복이 어렵기에 치주염으로 진행되기 전에 미리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게 중요합니다.
치주염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세균의 서식처로 작용하는 치태와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 필요하며, 치주염의 증상이 의심된다면 가까운 치과에 내원해 검진받길 권해드립니다.
혹시 잇몸치료가 약으로 가능하지 않은 이유가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잇몸치료 약으로 가능하지 않은 이유는?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통증이 있을 때 치과에 내원하기 어렵거나 치과 공포가 심하다면, 약을 찾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잇몸치료 약으로 가능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잇몸치료 약
dental21.tistory.com
치주염의 치료 방법인 치주소파술과 잇몸수술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치주소파술 vs 잇몸수술(치주판막수술) 차이점은?
중등도 이상의 치주 질환에 이환되면 치석제거만으로는 잇몸을 회복할 수 없으며, 추가적으로 치주소파술이나 잇몸수술이 요구됩니다. 그래서 치주소파술과 잇몸수술(치주판막수술)에 대해서
dental21.tistory.com
잇몸치료· 잇몸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통증과 증상이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잇몸치료 · 잇몸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통증 · 증상은?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치주 질환 유병률이 50% 이상이 나올 정도로 치주 질환은 흔한 질환입니다.그러다 보니 치주 질환으로 잇몸치료나 잇몸수술을 받는 사람들도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잇
dental21.tistory.com
'치아관리정보 > 잇몸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잇몸 질환이 당뇨 환자에게 얼마나 치명적인가요? (0) | 2025.02.27 |
---|---|
치아 스케일링 후 잇몸에서 피· 출혈이 심한 이유는? (0) | 2024.06.22 |
잇몸치료 · 잇몸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통증 · 증상은? (0) | 2024.06.09 |
치주소파술 vs 잇몸수술(치주판막수술) 차이점은? (2) | 2024.06.04 |
치근활택술 VS 치주소파술 비교해서 알아보기 (0) | 2024.05.19 |
댓글